HOME BLOG 블로그

Information

[특별안전보건교육] 타워크레인 해체에 관한 작업사항

[타워크레인 해체에 관한 작업사항]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0615_3847.png
 


1. 해체 작업 시 작업별 공정에 대한 점검 확인사항


1) 지브의 균형유지

  • 해체작업 중 타워크레인 양쪽 지브의 균형 유지를 확인한다. 
  •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한다. 
  • 도심지의 경우 주변의 행인 및 차량통제를 확인한다. (신호수 주변 통제)


2) 마스트 해체

  • 텔레스코픽 케이지 가이드 레일, 안내롤러 및 유압장치의 시험작동상태를 확인한다.
  • 유압장치의 오일누유 여부를 확인한다. 
  • 텔레스코픽 케이지 상, 하부 작업발판․난간 설치의 견고성 및 볼트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
  • 텔레스코픽 케이지와 턴테이블 고정핀 체결 상태에 대한 핀 또는 볼트 체결 누락 여부를 확인한다.
  • 상단부가 마스트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트 핀 체결 후의 작동을 확인한다. 핀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대로 작동을 금한다.


3) 카운터 웨이트와 메인 지브 해체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263_0235.png 

 

  • 메인 지브 해체에 따른 카운터 지브 불균형 상태를 확인한다. 
  • 매뉴얼상의 인양지점과 일치한지를 확인한다. 
  • 부재의 안전한 유도를 위한 유도 로프의 길이가 충분하고 손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 카운터 웨이트를 메인지브 해체 후 해체한다. 
  • 타이바에서 해체된 핀, 볼트 등의 낙하방지조치로 보관함을 사용한다.


4) 카운터 지브 해체

  • 매뉴얼상의 인양지점과 일치한지를 확인한다. 
  • 카운터 지브 인양용 와이어로프의 꼬인 것, 변형, 부식 등이 없는지 준비상태를 확인한다.


5) 운전실, 턴테이블, 타워헤드 해체

  • 매뉴얼상의 인양지점과 일치한지를 확인한다. 
  • 운전실 해체전 전력케이블 정리정돈 여부를 확인한다. 

 




 


 




2. 부재의 구조·재질 및 특성에 관한 사항 - 타워크레인 안전장치의 종류와 기능



1) 권과방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535_9065.jpg 

  • 타워크레인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도중 훅크가 지면에 닿거나 과권되어 훅크 블럭이 지브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 내부 리미트스위치 접점 손상 확인

- 운전자가 고의로 기능을 죽임

- 워엄기어 및 휠에 주유 철저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580_9302.png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582_102.png
 



2) 과부하방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618_3396.jpg 

  • 타워크레인의 각 지브 길이에 따라 정격하중의 1.05배 이상 권상시 과부하방지 및 모멘트 리미트장치가 작동하여 권상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치.
  • 크레인 사고의 상당부분이 과부하방지장치의 기능을 제거하여 발생.

- 헤드 마스트에 부착

- Leaf 과부하라고도 한다.




3) 속도제한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817_593.jpg 

  • 권상 속도 단계별로 정하여진 정격하중을 초과 하여 타워크레인 운전시 사고방지 및 권상 시 스템(hoist–system)을 보호하는 장치로서 전 원 회로를 제어한다.

- 캣헤드 상부에 설치됨

- 권상로프와 훅크에  걸리는 중량 제한




4) 역회전방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862_9358.jpg 

  • 회전모터가 작동할 때와 모터에 회전력이 생길 때 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경과하므로 바람이 불 경우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 회전기어 브레이크 주변에 부착된 리미트 스위 치에 의해 전원회로를 제어한다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919_492.png
 



5) 비상정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950_3892.jpg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950_4323.png 

  • 동작 시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동작을 멈추어 야 할 상황이 발생 되었을 때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모든 제어회로를 차단시키는 구조로 한 다. 
  • 비상정지용 누름 버튼은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수동복귀 되는 형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6) 트롤리내외측제어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1993_1874.jpg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012_3986.png 

  • 메인 지브에 설치된 트롤리가 지브 내측의 운전실에 충돌 및 지브 외측 끝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외측의 시작(끝) 지점에서 전원회로를 제어한다. 

 


 

 

7) 트롤리로프 파손 안전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036_8575.jpg 

  • 트롤리 주행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파손 시 트롤리를 멈추게 하는 장치로서 반동 베어링 (reaction bearing)이 아래로 처지면서 안전 레버(safety lever)가 90°선회되어 지브의 하단부 구조물에 걸리게 한다.

 




8) 트롤리 완충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065_3857.jpg 

  • 트롤리 최소반경 또는 최대반경으로 동작시 트롤리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완충재로서 정지장치 역할을 한다.

 


9) 트롤리 긴장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315_5779.jpg 

  • 트롤리로프 사용시 로프의 처짐이 크면 트롤리 위치제어가 정확하지 못하므로 트롤리 로프의 한쪽 끝을 드럼으로 감아서 장력을 주는 장치이다.

 




10) 와이어로프 꼬임방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438_8325.jpg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431_7005.png 

  • 권상 또는 권하시 권상 로프(hoist rope)에 하중이 걸릴 때 호이스트 와이어로프의 꼬임에 의한 로프의 변형과 훅 블록의 회전을 방지 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trust bearing이 들어 있는 축 방향 회전장치.

 


 


11) 훅해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508_6926.jpg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508_8747.png

  • 와이어로프가 훅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2) 선회제한리미트 스위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698_0543.jpg 

  • 선회제한 리미트 스위치는 선회장치 내에 부착되어 회전 수를 검출하여 주어진 범위 내에서만 선회동작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13) 충돌방지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720_8364.jpg 

  • 타워크레인의 작업반경이 다른 크레인과 겹치 는 구역 안에서 작업할 때 크레인간의 충돌을 자동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 
  • 특히 동일 궤도상을 주행하는 타워크레인이 2대 이상 설치되어 있을 때 크레인 상호간 근접으로 인한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14) 선회브레이크 풀링장치


622e4e7054ac5075bca311f86ab6c214_1599642748_7026.jpg 

  • T/C의 모든 동작을 멈추고 비 가동시에 선회 기어 브레이크 풀림 장치를 작동시켜 타워 크레인의 지브가 바람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Free jib slewing을 타워크레인이 바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면적을 최소로하여 타워 크레인 본체를 보호하고자 설치된 장치.

 





CONTACT

  • 010-5848-1009
  • 0504-198-7781
  • mail.fantaworks@gmail.com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디폴리스 지식산업센터 B동 1308호

FOLLOW US

ⓒFANTAWORKS CO. LTD All Rights Reserved.